소상공인 전기요금 특별지원 혜택 신청방법

최근 소상공인 판로진흥공단에서 보낸 카카오톡 메시지를 받으셨나요? 나는 그것을 받았다.
처음에는 누군가가 나를 속이려고 하는 보이스피싱인 줄 알았습니다.
확인해보니 실제로는 중소벤처기업부와 중소기업판로진흥공단에서 시행하고 있는 전기요금 특별지원사업이었습니다.

혹시 모르시는 분들이 계실까봐, 이 지원이 무엇인지, 누가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어떻게 신청하는지 간략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전기요금 특별지원

정책목적: 올해 전기요금이 인상되었습니다.
전기를 많이 사용하는 기업이라면 비용은 필연적으로 늘어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상황을 돕기 위해 정부는 지원 프로젝트를 수립했습니다.
바로 중소기업 전기요금 특별지원 사업이다.
누가 지원을 받을 수 있나요? 전기요금 특별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몇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다행히 조건이 그리 까다롭지 않아 대부분의 소상공인이 이 범주에 속할 가능성이 높다.
사업자등록 여부 : 국내 사업자등록증을 가지고 있는 중소기업 오픈 시간입니다.
2023년 12월 31일 이전에 개업한 사업체, 사업현황 현재 정상적으로 작동 중이어야 합니다.
사업장은 폐쇄되어서는 안 됩니다.
연매출액 1억400만원 이하(월평균 1170만원 이하) – 국세청 기준 비주거용 전기요금(일반용, 산업용, 농업용 등)을 사용하는 사업장 22~23개 부가가치세 신고금액. 상가건물에 거주하거나 별도의 관리사무소가 있고 관리사무소를 통해 결제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비계약이용자로 신청하여야 합니다.

이 프로젝트의 핵심은 전기요금의 일부를 지원받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지원금액은 사업규모나 전력사용량에 따라 달라집니다.
최대 25만원까지 전기요금을 지원해드립니다.
원래는 20만원이었는데 25만원으로 상향조정됐어요. 신청방법 온라인으로 쉽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
소상공인 전기요금 특별지원을 검색하고 공식 홈페이지에 접속해보세요.

소상공인 전기요금 특별지원.kr

왼쪽 가운데에는 ‘직접 계약 신청’과 ‘비계약 사용자 신청’ 두 가지 옵션이 있습니다.
한전으로부터 별도의 전기요금을 받는 사업자는 직접 계약을 신청할 수 있다.
이 경우 별도의 한전고객번호가 있습니다.
귀하의 사업장이 위치한 건물이나 상가에 관리사무소가 있는 경우에는 ‘비계약이용자’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관리비 정산서에 전기요금이 별도로 포함됩니다.
필요한 경우 전기요금 납부서를 업로드해야 할 수도 있으니 미리 준비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중소벤처기업부 홈페이지 공지사항이나 전기요금 특별지원콜센터(1533-0200)로 문의하면 된다.

지금까지 전기요금 특별지원사업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하였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와 중소기업판로진흥공사가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소상공인이라면 반드시 마감일 전에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그런데 사칭 문자 메시지도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그럼 오늘도 소박하면서도 빛나는 저녁 보내세요!